2021. 11. 8. 00:48ㆍ자본가의 삶
최근 코로나 시대 재택근무 제테크 활성화 되면서 주식에 많은 관심들이 더욱 더 커진것 같아요.
주식정보를 공유하고 시장상황을 체크하고 정보를 공유하려 합니다.
국내 증시가 미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 코스피는 횡보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주 코스피 밴드를 2930~3060포인트로 예상했습니다.
천명 - 신점 경남 김해 철산 선생님
단골의 비결은 오로지 공수뿐 | ;“한 번만 오고 마신 분은 거의 못 본 것
chunmyung.com
■신흥-선진시장 디커플링 완화 기대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는 전주 대비 1.41포인트(0.04%) 하락한 2969.27로 마감했습니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8744억원어치 순매수했지만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710억원, 101억원어치 순매도하며 지수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반면 미국에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7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상승장이 지속됐습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도 마찬가지로 5일(현지시간) 역대 가장 높은 수준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신흥시장이 선진시장의 상승 랠리 수혜를 받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증권가에선 이 같은 디커플링이 차차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왔습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글로벌 금리 하락은 신흥국 증시로의 자금 재유입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며 "지속된 외환·주식시장 동반 약세로 코스피 상대 가격 매력이 높아졌고 제조업에 부담을 줬던 글로벌 병목 현상이 완화되는 국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박석현 KTB투자증권 연구원도 "물가 전망 불안이 정점을 형성할 수 있는 향후 한 달 가량이 신흥국 주식시장과 코스피 추이의 고비가 되겠다"며 "이 과정에서 상대 수익률 부진의 바닥권 통과가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신흥국 주가 상승의 열쇠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 해소인데 아직까진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당분간 코스피 3000포인트 중심의 박스권이 지속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주 G2 물가지표 발표 속 업종 차별화
이번 주엔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 속에서 중국과 미국의 소비자·생산자 물가지표가 발표됩니다. 증권가에선 당초 4·4분기 글로벌 물가가 상승폭을 크게 확대할 것으로 예상해왔습니다.
박석현 연구원은 "현재 각국의 물가는 원자재 시장에 더 단단히 묶여 있어 향후 에너지 가격이 글로벌 물가 변동과 증시에 가장 중요한 변수이자 불확실성 요인이 되겠다"며 "11월 중엔 인플레이션이 아직 예측된 범주 안에 있어 증시 전반이나 성장주에도 악재가 아니다"고 봤습니다.
김영환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시장의 영향이 걱정될 수 있겠지만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전월 대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미 예상치가 높아져 서프라이즈 가능성은 낮아졌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이어 "현 시점에선 한파 우려에 따른 에너지 수급 불안,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겨울철 해외여행 확대 기대감,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 합의에 따른 친환경 분야 투심 개선 등이 단기 트레이딩 가능한 이슈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금부턴 종목 선별 시 내년 이익증가율과 이익추정치 상향 조정 여부가 중요하다"며 "연준 통화정책이 긴축 기조를 유지했을 때 주가수익률이 반등했던 업종의 공통점 중 하나는 다음 년도 이익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단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천명 - 신점 경남 김해 철산 선생님
단골의 비결은 오로지 공수뿐 | ;“한 번만 오고 마신 분은 거의 못 본 것
chunmyung.com
앞서 연준 FOMC는 이달부터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개시하기로 했다고 지난 3일 밝혔습니다. 연준은 우선 11~12월 매달 국채 1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달러씩 총 150억달러(약 18조원)를 축소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현 속도가 유지되면 자산 매입은 내년 7월께 종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은 변화하고 미국 증시는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증시는 계속 하락하는 상태라 이번주는 어떻게 한국 증시 코스피가 작동 할지 기대가 됩니다.

'자본가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휴민트 주식정보] 카카오페이 연속 하향 어디까지 추락할 것인가 (5) | 2021.11.08 |
---|---|
[올휴민트 주식칼럼] 메타버스 열풍에 국내외 관련 ETF 관심집중 성과는 (2) | 2021.11.08 |
[올휴민트 강소기업]시장 소식 카카오 엔씨소프트 시장이대로 상승할까 (2) | 2021.10.19 |
폭발·감전 배터리 보상하는 전기차보험 보험료 상승 부메랑 (1) | 2021.09.29 |
대출도 어려운 자영업자 86% "코로나 방역수칙 완화돼도 운영에 도움 안 돼 큰 걱정 이러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줄 도산 우려 (1)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