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자형은 해와 달이 합친 최고의 길지

2021. 6. 4. 01:05일상정보

728x90
반응형

용자형은 해와 달이 합친 최고의 길지

용자형은 해와 달이 합친 최고의 길지

 

글자형국으로 최고의 길지는 용자형을 칩니다. 글자의 뜻풀이야 '쓸 용'이지만 이 경우에는 글자의 구성을 중요시했습니다.

용자를 풍수지리설적 의미로 풀이하면 원시사회에서 제일 신성시했던 하늘의 해와 달을 합자한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일 자와 월 자의 합자는 겉으로는 명자가 되지만 이것은 두 글자를 나란히 늘어놓았을 뿐 합쳐진 것으로는 보지 않습니다. 이것은 다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없으며, 이런 물리적 합이 아닌 화학적 합의 변화이어야 음 양 이 융합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런 용 자 형의 실례는 경북 앙동시 신세동 임청각입니다.

이 집은 아흔아홉 칸 집(약 200평)으로 삼상을 낳는다는 산실이 있고, 불사의 방이 있으며 도둑이 도망친다는 퇴도문도 남향에 나 있는 별난 집입니다.

탑동으로도 알려진 이 마을의 이씨 집은 약 450년 전 이씨의 선조가 안동성의 남문 밖에 삼상이 나온다는 명혈을 짚어서 지었는데 구조를 동쪽에서 보면 두 개의 대문을 동쪽으로 내 용자의 밑부분을 이뤘으며 집 안에 네 개의 반듯한 정원이 설치되어 있어 용자의 가운데 공간을 의미했습니다.

동쪽 대문 두 개 중 북쪽 편에 있는 대문에 붙어 있는 방이 대신 세 명을 낳는다는 산실이며 남쪽 편에 위치한 대문 옆은 마굿간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서쪽에 대문이 하나 있으며 남쪽 대문은 도둑이 도망간다는 도둑전용입니다.

이런 평면구성은 풍수적인 의미는 있을지 몰라도 주거공간으로서의 기능은 합리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하대 박물관장 김광언 교수는 지적합니다. 우선 평면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외부사람이 집구조를 쉽게 알아볼 수 없는 이점은 있으나 내부가 좁아서 답답한 느낌을 주며 무엇보다 채공이 잘 되지 않아 습기가 많으며 겨울철에는 일조량이 적어 춥다는 것입니다.

이런 용 자형은 집뿐 아니라 묘에서도 대길한 명당으로 칩니다. 그 대표적인 예는 동구릉입니다. 이런 형국을 풍수엔서는 '천지음양일월도합격'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머리 복잡할땐 신점 앱으로 클릭 재미로보기 좋아요.

나의운명 팔자는 50%  노력개척50%  이니 재미로  한번 클릭해보세요  큰행운이 올지도~~~^^

https://chunmyu.ng/UDQk98uaw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