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얼마나 알고 있나 제대로 알고 관리하기

2021. 6. 6. 13:24건강칼럼(건강정보)

728x90
반응형

 

심장이 우리 몸의 구석구석까지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을 보내기 위해서는 혈관내 압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압력을 혈압이라고 합니다.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여 피를 뿜어 낼 때 나타나는 수축기(혹은 최고)혈압과 심장이 확장하여 혈액을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확장기(혹은 최저)혈압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일반적으로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39 이하, 확장기 혈압이 89이하 이며,

140 / 90 이상이 되면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은 인구의 205 정도에서 발행할 정도로 흔하며 현대인들의 병의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 입니다.

고혈압은 증상이 대부분 없으며, 혈압만 측정하면 쉽계 진단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하면 정상생활을 하면서 자기의 수명을 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뇌졸중(일명 중풍), 심장병, 신장병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고생하거나 치명적입니다.

 

고혈압은 국민계몽에 의한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발생률을 낮출 수 있어 고혈압은 개인건강 뿐만 아니라 국가보건정책에서도 중요한 질환 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혈압의 발생원인은 무엇일까요?

고혈압은 발생원인에 따라서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고혈압으로 나눕니다.

 

=>본태성 고혈압을 의 원인을 알아보죠

발생원인을 잘 모르는 고혈압으로 고혈압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유전, 짠음식, 비만증,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추측됩니다.

즉, 부모가 고혈압환자이거나, 음식을 짜게 먹거나, 살이 쪄 비만증이 되거나, 직장이나 주위환경으로 부터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 사람에서 고혈압이 잘 발생합니다.

 

이이에 야심적, 공격적이고 성급하며, 긴장을 잘하는 A형성격도 고혈압 발생에 관여한다고 하나 어느 한가지 원인으로 만 설명할 수는 없고 여러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 할 것입니다.

 

=> 이차성고혈압

발생원인을 아는 고혈압으로 신장질환, 내분비질환, 약물 (스테로이드) 등이 원인이며, 고혈압환자의 10% 정도를 차지 합니다.

 

*혈압측정시 주의할 사항들을 보죠

 

고혈압은 혈압을 측정하면 쉽게 진단되므로 혈압은 정확히 측정되어야 합니다.

혈압계는 수은혈압계, 아네로이드혈압계, 전자식혈압계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은혈압계가 가장 정확 합니다.

 

혈압은 측정하는 시간, 흥분, 운동, 흡연, 커피 등에 따라 변동이 심하여 혈압을 측정하기 전에 5분 이상 안정 후 편안한 자세로 혈압을 측정하며 혈압을 측정하기 30분내 흡연하거나 커피를 마셔서는 안됩니다. 혈압치가 5 이이내 안정될 때까지 혈압을 여러번 측정하여 혈압치로 삼으며, 양측 팔의 혈압ㅇ ㅣ다르면 높은 측의 혈압을 혈압치로 삼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혈압을 분류해 볼까요.

정상혈압과 고혈압을 구분하는 정확한 혈압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성인 최소 1주 간격으로 3번이상 측정하여 평균치가 140/90 이상이면 고혈압이라고 진단 합니다.

 

혈압치가 210/120 이상이면 처음 한 번 측정한 혈압일지라도 고혈압이라고 진단합니다. 고혈압의 중증도는 미국의 고혈압진단, 평가 및 치료에 대한 합동위원회의 보고(표1)와 같이 분류합니다.

정상혈압인 사람도 앞으로 고혈압이 될 가능성이 있어 혈압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자주 혈압ㅇ르 측정하여야 합니다.

 

고혈압중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이면 확장기 혈압은 90 이하인 경우를 수축기 고혈압, 혈압변동이 심하여 가끔 고혈압을 나타내는 것을 불안정형 고혈압, 혈압이 200/140 이상이며 안저검사에서 유두부종이 나타나면 악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표1)

정상혈압 130이상 85이상

높은혈압 130~139 / 85~89

고혈압 1기(경증) 140~159 / 90~99

2기(중등증) 160~179 / 100~109

3기(중 증) 180~209 / 110~119

4기(고중증) 210이상 / 120이상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 라고도 하며, 합병증이 발생하여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인들에게 고혈압의 증상으로 알려진 두통, 어지러움증, 코피 등이 고혈압환자에서 나타날 있으나 고혈압과 관계없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두통은 고혈압의 증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어서 뒷머리만 뻐근하여도 혈압이 올라간 것이 아닌가 하며 걱정을 하는 사람이 있으나 두통이 고혈압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더욱이 두통의 정도에 따라 혈압의 높고 낮음을 알 수는 없습니다.

 

고혈압이 심하면 두통이 나타날 수 있는데 아침에 일어날 때 뒷머리가 아프거나 뻐근한 것이 특징입니다. 아침에는 상쾌하다가 오후가 되어 육체적이나 정신적으로 피곤 할 때 뒷머리가 뻐근해 지는 경우는 오래동안 긴장상태에 있거나 신경이 예민한 사람에서 나타나는 긴장성두통이 대부분입니다.

 

어지러움증은 고혈압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나 뇌순환장애나 부정맥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고혈압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갑자기 일어서면 혈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져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하여 어지러움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코피는 정상인 보다 고혈압환자에서 자주 터진다는 증거는 없으나 고혈압환자에서 코피가 터지면 흥분하여 혈압이 상승하므로 정상인 보다 코피가 멎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고혈압의 합병증

고혈압은 치료를 안하면 합병증이 나타나 고생을 하며 수명도 10~20년 짧아지게 됩니다. 고혈압의 합병증은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노인보다는 젊은이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고혈압이 오래되면 여러가지 합병증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합병증은

대표사진 삭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뇌졸중

동맥경화성심장질환

신장병

대동맥박리

말초혈관질환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와 같은 합병증은 고혈압 환자에서 정상인 보다 5배 이상 발생하며 고혈압환자가 담배를 피운다든지, 고지혈증이든지, 당뇨병이 있으며 그 발생률은 더욱더 높아집니다.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제일 중요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고혈압 예방하고 개선 및 극복해 보세요

=>육류 보다는 채식 위주의 음식과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위주의 식습관을 지켜보세요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는 혈압강하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성과가 불확실하나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들을 개선시키며 경제적인 부담과 위험성이 적습니다. 그러나 혈압강하제를 같이 사용할 경우에는 치료효과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모든 고혈압환자는 다음과 같이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고혈압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흡연을 중지한다

고혈압환자가 흡연을 하면 동맥경화증의 발생이 몇배나 증가하게 되므로 담배를 끊어야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표준체중을 유지한다

뚱뚱하면 고혈압이 더욱 심해지고 고지혈증(특히 콜레스테롤혈증)이나 당뇨병의 발생이 많아지며 고혈압환자에서는 동맥경화증 발생을 더욱 높입니다. 체중을 감소시키는 가장 추천할 만한 방법은 음식물로 섭취하는 칼로리양을 제한하며 신선한 야채의 섭취를 늘리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열량소모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체중 10kg 줄이면 수축기혈압 25 , 확장기혈압 10 정도 감소하며 1기(경증) 고혈압 환자는 체중감소만으로도 혈압을 정상화 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음주를 절제한다

과량의 음주는 혈압을 올리며 혈압강하제의 효과를 낮춥니다.

음주는 에타놀 1온스(위스키 2온스, 포도주 8온스, 또는 맥주 24온스) 이하로 절제 하는게 좋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특히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는 걷기운동 추천

심장 및 말초혈관이 허용하는 한 규칙적인 운동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며, 혈압을 낮춰줍니다. 운동은 걷기, 천천히 달리기, 수영, 자전거타기 등을 1일 30분~50분 , 1주일에 3일~5일 실시하는 정도가바람직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합병증이 없는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는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으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운동을 해도 좋은 지, 어느 정도 해야 되는 지를 전문의와 상의하며 필요하면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운동량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운동이 건강에 좋고 병이 낫는다고 하여 씩씩거리며 힘겹게 무리한 운동을 하면 사고나 심장병을 일으키는 수가 있으니 주의 해야 합니다.

 

운동자체에 집착하기 보다는 운동을 하니까 기분도 좋고 재미도 있고 즐거우니까 하는 마음으로 하여야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음식은 싱겁게 먹는다

짠 음식은 고혈압발생과 관련이 많으며 저염식 자체의 혈압강하 효과는 약하나 저염식과 혈압강하제를 같이 사용하면 혈압강하제의 작용을 강화시킵니다. 적당한 저염식 (1일 5g 정도의 소금)을 하면 혈압강하제의 용량을 낮출 수 있어 모든 고혈압환자의 치료시 저염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염분을 제한하기 위하여는 조리시 또는 식탁에서 소금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짠 맛을 원하면 무염간장이나 대용소금을 사용하고, 가공식품은 가급적 피해야 하며, 염분함량이 많은 제산제나 약물은 피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1일 10g의 염분으로는 음식이 너무 싱겁고 구역질이 나와 도저히 먹을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저염식은 먹기 힘들 수 있으나 저염식을 혈압강하 효과가 뚜렷하여 환자나 가족은 음식을 싱겁게 먹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싱거운 음식을 도저히 먹지 못하여 고통스러워 하는 환자에게는 적절한 염분과 이뇨제를 사용 할 수도 있습니다. 양한방대체이학을 접목해서 치료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생활습관을 잘 개선해서 고혈압을 예방하고 개선 하며 극복하는 삶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