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9. 20:05ㆍ건강칼럼(건강정보)
천명 - 타로 충주 루나 선생님
본인 인생의 정답지를 보고 싶다면 | “상담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상담 이후의 삶을
chunmyung.com

뇌가 건강해지려면 미토콘드리아 재활용이 필수
세포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분해 과정을 거쳐 새로운 미토콘드리아로 보충됩니다.
이 과정을 미토파지(mitophagy)라고 하는데 여기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파킨(Parkin)과 PINK1 입니다.
이들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가족성 파킨슨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약칭 PD)은 중뇌 흑질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뉴런)가 서서히 소실돼
느린 운동, 근육 떨림과 강직, 자세 불안정 등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신경 퇴행 질환입니다.
세계적으로 파킨슨병 환자는 700만 명에서, 많게는 1천만 명에 이를 거로 추정 됩니다.
그러나 파킨과 PINK1 단백질이 보통 파킨슨병으로 사멸하는 뇌의 신경세포(뉴런)에도
똑같이 작용하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http://appu.kr/?i=12297861
http://busanlasik.co.kr/99lasik/?ref=adlix&sub=21408059
busanlasik.co.kr
뇌의 뉴런은 다른 기관에 존재하는 세포 유형보다 에너지를 많이 씁니다.
또 뇌의 뉴런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는 이들 단백질의 신경 퇴행에 맞서는 내성이 훨씬 더 강합니다.
그런데 파킨(Parkin)과 PINK1 단백질이 파킨슨병 환자의 미토콘드리아 리사이클링(recycling·재활용)에
깊숙이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분해해 다시 쓰는 리사이클링은 미토콘드리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이 시스템이 고장 나면 신경 퇴행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글래드스턴 연구소(Gladstone Institutes)의 켄 나카무라(Ken Nakamura) 박사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는 지난 6일(현지 시각)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글래드스턴 연구소는 비영리 독립 생물의학 연구 기관이다.
하지만 핵심 연구진은 대부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교수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나카무라 박사도 UCSF의 신경학과 부교수 입니다.
그는 "이번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생명 주기, 그리고 돌연변이가 생기면 (유전성)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주요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의 리사이클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갖게 됐다"라고 말했습니다.
살아 있는 모든 세포는 매일 같이 리사이클링을 합니다.
낡은 부품을 분해해 얻은 소재를 새로운 걸 만드는 데 쓰는 것과 비슷합니다.
연구팀은 살아 있는 뇌의 뉴런 안에서 파킨과 PINK1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추적했습니다.
파킨은 뇌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둘러싸 '분해 대상' 표시를 합니다.
https://chunmyu.ng/RNmJz3Sqf
천명 - 타로 압구정 카린 선생님
손님 사연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 ;“구체적인 상황을 말씀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chunmyung.com
뉴런 외 다른 유형의 세포에서도 미토파지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이번 연구에선 뇌의 뉴런도 미토파지가 시작되는 방법은 같다는 게 확인된 셈입니다.
파킨으로 뒤덮인 미토콘드리아는 이어 세포 내의 다른 요소와 결합해 미토리소좀(mitolysosome)
이라는 '미토콘드리아 분해 구조'를 형성합니다.
세포 소기관인 리소좀엔 단백질, 핵산 등을 분해하는 가수분해 효소가 들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미토리소좀이 빠르게 분해되면, 새로운 미토콘드리아를 만드는 데 재활용할
수 있는 분자들이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실제로 미토리소좀은 갑자기 터져 단백질 등 아직 쓸 만한 내용물을 세포 안에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추론의 골격이 대부분 깨졌습니다.
우선 미토리소좀은 빠르게 분해되는 게 아니라 세포 내에서 수 시간 동안 잔존했습니다.
게다가 일부 미토리소좀은 분해되지 않고 건강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다시 삼켜졌습니다.
https://chunmyu.ng/bM7ldFtsD
천명 - 타로 양주 나리 선생님
가슴 따듯한 치유의 시간 | ;“저는 항상 손님 편에 서 있습니다.” ;
chunmyung.com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리후이후이(Huihui Li) 박사후연구원은 "미토콘드리아의 리사이클링
경로를 발견한 것 같다"라면서 "이는 마치 주택을 철거하기에 앞서 쓸 만한 가구를 미리 옮겨 놓는 것과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 리사이클링 경로가 작동하려면 파킨과 PINK1이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파킨슨병의 신경 퇴행을 막는 데 미토콘드리아 리사이클링이 매우 중요하다는 추론을 뒷받침 합니다.
나카무라 교수는 "파킨슨병으로 죽는 도파민 뉴런은 특히 파킨과 PINK1의 돌연변이에 취약하다"라면서 "향후
연구의 초점은, 어떻게 이들 단백질이 파킨슨병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들 단백질을 표적으로 치료제를
개발할지 등을 밝히는 데 맞춰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건강칼럼(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 안전하게 쓰는 방법 (2) | 2021.08.10 |
---|---|
치매 안녕 좌뇌·우뇌 자극하는 방법 (2) | 2021.08.10 |
골다공증이어도 무작정 칼슘 영양제 먹으면 안 된다 (3) | 2021.08.09 |
오늘은 뭐하지 걷기운동 이것만 해도 효과 탁월 (4) | 2021.08.09 |
씹고 뜯고 맛보는 즐거움 못 느끼는 노년 우울증 위험 2배 높다 (4)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