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휴민트 건강정보]백신 접종 후 증상 없어도 효과와 무관 서울대 연구발표

2021. 5. 29. 17:07건강칼럼(건강정보)

728x90
반응형

서울대 연구팀에서 발표하기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후 발열이나 근육통 등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서 백신이 효과가 없는 것 아니냐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부작용 발생 여부가 백신으로 인한 항체 형성과 무관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백신 접종 후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백신의 효과와는 별다른 관련이 없다는 것입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박완범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송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올해 3∼4월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135명을 대상으로 접종 후 부작용과 항체 형성의 연관성을 평가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135명 중 42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나머지 93명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습니다.

두 백신은 모두 접종한 후 주사 부위의 통증이나 부어오름, 붉게 변하는 등의 국소 부작용과 피로감과 근육통, 두통, 발열 등 전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두 백신 모두 두 차례 접종해야 합니다.

그 결과, 화이자 백신 2차 접종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후 부작용의 빈도 및 중증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열은 화이자 백신 접종자(19%)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36%)에게서 더 흔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를 접종한 42명 중 39명(93%)이 국소 부작용, 40명(95%)이 전신 부작용을 보고했습니다.

부작용의 비중을 보면 국소 통증이 9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피로(81%), 근육통(79%), 두통(62%) 순이었습니다. 11명(26%)은 중등도 이상의 국소 부작용을, 30명(71%)이 중등도 이상의 전신 부작용을 보고했습니다. 36명(86%)은 항염증제를 복용했습니다.

화이자 백신은 1차보다 2차 접종 시 부작용이 심했습니다. 화이자 백신 2차를 접종한 93명 중 85명(91%)이 국소 부작용을 보고했고, 이 중 37명(40%)은 중등도 이상의 부작용을 호소했습니다. 또 76명(82%)이 전신 부작용을 보고했고, 그중 56명(60%)이 중등도 이상의 부작용이었습니다. 항염증제를 복용한 사람은 68명(73%)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과 항체 형성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뚜렷한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즉, 백신의 부작용 여부는 효능과 관계없다는 의미입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면역성의 연관성을 평가한 첫 번째 연구”라며 “연구 결과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의 심각도와 항체 형성과는 특별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백신을 맞고 별 증상이 없다고 해서 백신 효과가 없을 것이라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열, 근육통 등의 부작용 발생 시 우려하지 말고 타이레놀 등 해열제를 복용하면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