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호형'은 개형상의 짝이 있어야
'복호형'은 개형상의 짝이 있어야
'복호형'은 개형상의 짝이 있어야
짐승으로 분류되는 형국 중에는 호랑이 모습에 빗댄 것이 많습니다.
호랑이가 먹이를 구하러 나타나는 것을 상징한 맹호하산형에 노호하산형, 맹호하전형, 맹호출림형이 있는가 하면 두 마리 호랑이가 상교하는 양호상교형과 목마른 호라이가 물을 먹는다는 갈호음수형, 잠자는 호랑이도 있으며 그 형상이 이해하기 힘들지만 추위에 떠는 호랑이가 꼬리를 양다리 속에 넣고 있는 한호함미형도 있습니다.
일반에게 잘 알려진 것은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습 같다는 '복호형'입니다. 이런 복호형에는 호랑이 앞에 조는 개 형상의 안산이 있어야 길격으로 칩니다.
경남 밀양군 부북면 덕곡리 앞산에는 복호형이 있는데 이곳에 밀양읍에 사는 손씨가 약 50여년 전에 묘를 쓰고 온 집안이 부유하게 지냈습니다.
그러나 이 산을 마주 대하는 안산격에 묘를 쓴 설씨는 오히려 점차 기운이 쇠퇴했다는 것입니다. 이 산은 개가 누워 있는 형세라는 와견형이어서 앞쪽의 복호형에 눌려 그렇게 됐다는 것입니다.
힘의 균형이 생기면 명당이 되는 예도 있습니다.
옛날 경기도 개성군 중면 식현리에 있는 파평 윤씨의 조묘는 꿩이 엎드려 있다는 복치형으로 유명한데 파평 윤씨들은 금릉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 묏자리는 주산에 해당하는 뒷산은 독수리가 솟아오르는 형국이요, 앞쪽은 매형상의 봉우리가 있으며 왼쪽에는 누런 개의 형상이라는 황견곡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가운데 꿩이 있는 셈입니다.
독수리, 매, 개 등 세 마리의 짐승이 꿩을 노리면서 서로 견제하고 있는 형세다. 풍수지리설로는 이것을 삼수부동지격이라고 해서 꿩은 세 짐승 사이에서 오히려 아무런 두려움 없이 영구히 안락하게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울 수 있는 길지 중의 길지라는 것입니다.
이후 파평 윤시는 자손이 번창하여 두 파를 냈으며 왕비를 배출하기도 했습니다.
머리 복잡할땐 신점 앱으로 클릭 재미로보기 좋아요.
나의운명 팔자는 50% 노력개척50% 이니 재미로 한번 클릭해보세요 큰행운이 올지도~~~^^
https://chunmyu.ng/UDQk98u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