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천시장 거느린 암행어사 박문수 묘
병천시장 거느린 암행어사 박문수 묘
병천시장 거느린 암행어사 박문수 묘
우암 송시열의 묘가 장군대좌형으로 장군의 졸병이 필요해 청천시장이 생겨났듯이 묘의 졸병역을 하고 있는 또 하나의 시장의 충남 천원군 병천시장입니다.
병천시장 맞은편에 위치한 은석산 중턱에 고령 박씨의 선조 박문수의 무덤이 있습니다. 암행어사 박문수로 잘 알려진 사람입니다.
지금으로부터 250년 전 어사 박문수가 병천지방을 머물고 있을 때 방문객 가운데 유명한 지관 김씨가 있었습니다. 박문수는 지관 김씨에게 자기가 죽으면 들어갈 자리, 즉 신후지지를 하나 잡아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래서 택해진 곳이 지금의 천안군 북면의 은석산 중턱인데 이 혈장 역시 장군대좌형국으로 후손이 발복하기 위해서는 졸병들이 필요했고 그래서 시장을 개설해야만 했습니다. 당시 위세를 떨치고 있던 어사 박문수는 별로 힘 안들이고도 자기가 살아 있을 때 병천시장을 개설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장은 비좁아서 일제때 보다 넓은 곳으로 옮겨달라는 진정서가 인근마을에서 제출되었습니다. 그러나 고령 박씨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면사무소에 몰려가 시장 이전 반대 시위를 벌였습니다.
병천시장이 어사 박문수의 조망에서 사라지면 장군의 졸병이 없어지는 결과가 되어 박씨 후손들에게 발복의 힘이 끊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당시만 해도 이렇게 행동으로 표시할 만큼 굳게 믿었던 게 바로 풍수지리사상입니다.
박문수묘설명표
장군대좌형과 연관되는 것으로 장군대좌패검형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장군이 칼을 차고 앉아 있는 모양의 지형을 얘기합니다. 이런 패검형에는 반드시 묏자리의 좌우에 칼 모양을 한 모양을 한 바위가 있게 마련입니다. 흔히들 칼바위라 부릅니다.
이런 명당은 혈장을 잘 잡아 정혈에 묘를 쓰면 그 기대로 장군도 나오고 후손도 발복합니다. 그러나 이기오행의 법수대로 쓰지 않고 위치나 좌향을 잘못 쓰면 역시 그 형상의 기를 받기 때문에 강도나 칼잡이 두목, 흉기를 쓰는 흉악범 같은 후손이 나와 오히려 집안이 패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명당의 형국에는 그 형국의 이치에 맞는 정혈이라야 발복하지 그렇지 않으면 그 반대가 되거나 무의미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머리 복잡할땐 신점 앱으로 클릭 재미로보기 좋아요.
나의운명 팔자는 50% 노력개척50% 이니 재미로 한번 클릭해보세요 큰행운이 올지도~~~^^
https://chunmyu.ng/UDQk98u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