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속임수 이동식차량서 ICBM 직접 발사 영상 합성 가능성 높다
북한, 군지휘관 강습회서 이동식차량 ICBM 발사 영상 공개
(서울=연합뉴스) 북한은 지난달 29일 열린 군 지휘관·정치일꾼(간부) 강습회 참가자 대상 국무위원회 연주단 공연이 진행됐다고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북한은 공연에서 화성-15형으로 추정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하는 듯한 영상을 상영해 주목된다. 북한은 화성-15형 미사일을 TEL에서 직접 발사한 사례가 없어 영상을 합성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조선중앙TV 화면] 2021.8.2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출처 : 연합뉴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곧바로 발사하는 듯한 영상을 공개해 사실 여부가 주목됩니다.
조선중앙TV는 지난달 31일 군 강습회 참가자를 위한 국무위원회 연주단 공연보도에서 '화성-15형'으로 추정되는 ICBM이 TEL에서 발사되는 장면을 영상으로 방송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TEL의 고정대가 내려간 직후 미사일이 배기가스를 내뿜으면서 발사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영상에서 차량이 보이지는 않지만, 고정대는 TEL에 설치된 장비로 보였습니다.
북한은 2017년 11월 29일 화성-15형 시험 발사 당시 TEL을 이용해 미사일을 운반하기는 했지만, 실제 발사는 지상에 고정 거치대를 세워서 이뤄졌습니다. 이동식 거치대는 보이지 않았다는 거죠.
TEL에서 직접 ICBM을 발사하면 내린 뒤 지상 거치대에서 발사하는 것보다 신속한 발사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군 당국은 북한이 TEL에서 ICBM을 직접 발사하는 능력을 갖췄는지를 주시해 왔습니다.
국방정보본부는 지난 2019년 11월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ICBM을 TEL에서 발사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그간 노력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했기보다는 영상이 합성 등 일부 수정을 거쳤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북한은 '화성-15형'을 2017년 11월에 딱 한 번 시험 발사했는데,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당시 상황이 아닙니다. 만약 북한이 영상에 담긴 것처럼 추가 시험발사를 했다면 한미 군 당국에 포착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난해 10월 공개한 신형 ICBM에 대해서도 액체 추진체 탑재 시 발사 중량이 100t 수준으로 TEL로 이동·발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포병 전문가들이 얘기합니다. 이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미사일,로켓,대포, ICBM은 북한이 보유한 미사일 이랍니다.
이유는, 어디에 떨어 질지 모른다는 것이죠. 발사하는 북한의 표병도 미사일이 어디에 떨어질지 대충 안다고합니다. 우리모두 미사일 조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