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도 안 되고 설사도 잦고… '내장' 예민한 '이 질환'
대표적인 소화기 질환인 기능성소화불량, 역류성식도염, 과민성장증후군 등의 질환을 하나가 아닌 2개 이상 여러 개 가지고 있는 경우인데, 이를 '중복증후군'이라고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이유 없이 소화가 안되고 배가 아프고… 유독 위장(胃腸)이 예민한 사람이 있다. 대표적인 소화기 질환인 기능성소화불량, 역류성식도염, 과민성장증후군 등의 질환을 하나가 아닌 2개 이상 여러 개 가지고 있는 경우인데, 이를 '중복증후군'이라고 한다. 국내 조사에 따르면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의 3분의 1이 기능성소화불량, 역류성식도염, 과민성장증후군을 2개 이상 같이 가지고 있다. 주로 기능성소화불량과 과민성장증후군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중복증후군이 있으면 소화불량, 가스, 복통, 변비, 설사 등 다양한 증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므로 불편이 심하고 환자의 삶의 질도 크게 떨어진다.
위장 예민한 사람에게 발생
중복증후군은 위, 장의 소화기가 예민하고 운동 기능이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 주로 발생한다. 기능성소화불량증이나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위 안에 풍선을 삽입하고 서서히 팽창시켰더니 정상인에 비해 훨씬 낮은 압력에서 심한 통증을 느낀다는 연구가 있다.
장내 세균의 불균형도 영향을 미친다. 장내 비정상적인 세균이 과다 증식하면 대장 증상이 나타나는 것뿐 아니라 위 수축도 방해해 음식물 배출 시간을 지연시킨다.
스트레스도 원인이다. 스트레스 호르몬은 위 운동은 저하시키지만 장 운동은 증가시켜 기능성소화불량증과 과민성장증후군을 유발한다.
위장관 감염 후유증도 중복증후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에 감염되고 1년 뒤 기능성소화불량증 유병률을 조사했더니 13.4%로 일반인 2.6%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과민성장증후군의 유병률도 10%(일반인 0.7%)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국내 연구가 있다.
원인 찾아 치료해야
중복증후군은 눈에 보이는 증상만 개선하는 치료를 하면 안 된다. 원인에 따른 개인 맞춤 치료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와 장이 과민한 사람은 과민함을 낮춰주는 약을 쓰고, 장내 세균의 불균형 혹은 과증식이 원인인 사람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기능성소화불량증과 설사형 과민성장증후군을 같이 갖고 있으면 위 운동은 촉진하고 반대로 장 운동은 떨어뜨리는 약제를 사용한다. 스트레스·우울·불안이 원인인 경우에는 항우울제, 통증이 주요 증상인 경우에는 통증 조절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