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2. 17:09ㆍ일상정보
재미있는 풍수이야기 쌍태산 한집 건너 쌍둥이마을
재미있는 풍수이야기 쌍태산 한집 건너 쌍둥이마을
쌍태산이라고 들어 보셨나요? 한집 건너 쌍둥이 탄생하는 마을 신기하죠.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풍수의 기운!
전체 75가구 중에 36가구가 38쌍의 쌍둥이르 낳아 세계적으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쌍둥이 다출산" 기록을 가진 전남 여천군 소라면 현천리 중촌마을은 신비의 현장임에 틀림없습니다.
이 마을은 장수촌으로도 유명한데 마을 뒷쪽에는 유명한 약수터가 하나 있습니다. 이 약수가 쌍둥이는 물론 장수에 효험이 있다고 생각, 전국에서 아이를 못 낳는 부인들이 몰려 들기도 했습니다.
10여년 전 서울 가톨릭의대에서는 산부인과 의사들로 조사단을 구성, 중촌마을에 파견해 다각적인 조사를 실시한 뒤 특이한 현상들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첫째, 약수터의 우물에 그 신비가 있다면 물을 같이 먹는 이웃 마을 에서도 쌍둥이가 출산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둘째, 이 마을에서 200미터 가량 떨어진 하촌리와 오룡리에는 중촌리와 인척, 친척관계인 사람들이 많은데도 단 한쌍의 쌍둥이도 출산되지 않았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유전도 아닌듯 합니다.
셋째, 쌍둥이는 모계 유전적인 경향이 많은 이란성과 후천성 요인이 많은 일란성 두가지가 있는데 그 비율은 7대3 정도로 모계 유전성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 마을은 환경의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후천성 일란성 쌍둥이가 1대4.6으로 더 많았습니다. 또 분만 횟수가 많아질수록 쌍둥이를 낳을 확율이 줄어드는 것이 보통인데 이 마을은 그 반대였습니다.
넷쩨, 주민들의 혈액조직, 내분비염색체, 지문검사 등 생태학적 1차 검사에서도 특별한 이유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조사팀이 나종규 박사는 이같이 유전과 관련된 생태조사 연구는 적어도 3~5대를 관찰해야 하는데 단기간 내에 조사를 했기 때문에 규명이 어려웠다고 전제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통계적 예나 가계조사 결과 남자와 여자쪽은 물론 각 가문에 쌍둥이가 골고루 출산됐다는 점은 유전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후천성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서울 가톨릭의대 나종규 박사 산부인과 조사팀
그렇다면 무슨 까닭일까요
바로 풍수로 풀어보면 답이 후천적 환경적요소로 나오죠
이 마을 동쪽에는 예부터 쌍태산 또는 쌍봉산으로 불리는 산이 있습니다. 쌍둥이 마을의 신비는 이 산의 정기에 있는 것입니다.
천명 - 신점 면목 소원 선생님
노력하는 천재는 이길 수 없다 | ;“16살에 신내림을 받았습니다. 3대를 이
chunmyung.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인돌 시대부터 시작된 '뼈' 숭배사상 (1) | 2021.06.03 |
---|---|
유골이 좋은 지기 받아야 후손이 잘된다 (0) | 2021.06.02 |
문필봉 풍수형국 같은 산이라도 보이는 형상에 따라 정기가 다르다 (0) | 2021.06.02 |
불을 막는 남대문 즉 숭례문의 풍수지리 형국 (0) | 2021.06.02 |
풍수설로 만든것은 풍수설로 해석해야 정답 (0) | 2021.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