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21. 18:27ㆍ건강칼럼(건강정보)
천명 - 사주 신림 산정 선생님
진짜는 모두가 알아보는 법 | 역술인의 길은 정말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찾아옵
chunmyung.com
두통은 겪어 보지 않은 사람을 없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죠. 그런데 두통이 의외의 복병이 될 수 있답니다.
대부분의 두통은 참고 좀 쉬거나 약을 먹으면 낫습니다. 그러나 어떤 두통은 뇌종양, 뇌출혈, 뇌압상승, 뇌염 등 심각한 뇌 질환 전조 증상일 수 있습니다.
평소처럼 별일 아니겠지 하고 넘겼다간 치료시기를 놓쳐 생명을 잃거나 평생 후유증에 시달릴 수 있죠.
두통은 왜 생길까.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나 뇌를 감싸고 있는 뇌막, 신체와 연결된 뇌신경, 머리 속 혈관이나 머리 주변 근육은 통증 신호를 감지합니다.
뇌 주변이 자극을 받고 통증에 예민해지면서 두통이 되는 것입니다. 유전적으로 자극에 더 민감해 통증을 잘 느끼도록 타고난 사람도 있습니다.
◇300가지가 넘는 두통 발생 원인
두통 원인을 세세하게 따지면 300가지가 넘습니다. 크게 구분하면 뇌에 큰 이상이 없는 1차 두통과 다른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난 2차 두통으로 나뉜답니다.
1차 두통의 70~80%는 스트레스ㆍ피로ㆍ수면 부족 등과 관련돼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긴장형 두통입니다. 잘 먹고 잘 자면서 쉬면 곧 좋아집니다.
1차 두통의 10~20%는 통증 강도가 심하고 빛과 소리에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속이 메스꺼워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는 편두통입니다. 편두통 환자의 절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두통 유발 요인을 갖고 있습니다. 수면 부족ㆍ과로ㆍ생리ㆍ날씨 변화ㆍ포도주ㆍ초콜릿ㆍ치즈ㆍ튀김ㆍ커피 등입니다.
이 가운데 자신에게 생기는 편두통 유발 요인을 피해야 합니다. 두통이 생겨도 생활에 지장이 없으면 참아도 된답니다. 두통이 심하면 진통제를 먹고 반응이 있는지 살핍니다.
자신에게 맞는 효과적인 두통 약을 찾으면 됩니다. 다만 습관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면 그 자체가 만성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두통이 잦다면 ‘두통 일기’를 써보세요. 머리가 언제 어느 정도로 아팠고, 어떤 약을 얼마만큼 먹었는지 기록해두면 치료에 도움이 된답니다.
진통제를 주 1~2회 이상 반복적으로 먹고 있다면 신경과 진료를 받습니다. 편두통 빈도와 강도를 줄이는 예방 약물을 먹거나, 만성 편두통은 머리·목·어깨에 보톡스 주사를 놓아 통증에 대한 역치를 높입니다.
◇뇌종양ㆍ뇌출혈 등으로 나타나는 2차 두통
다른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2차 두통은 뇌종양ㆍ뇌출혈 때문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2차 두통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예전과 다른 두통이 생겼을 때 의심해야 합니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귀가 안 들리고, 걸음걸이나 말이 어눌해지는 등 없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경련ㆍ의식 소실ㆍ마비 같은 이상 징후를 동반한 두통은 뇌 속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상은 두통이지만 1분이라도 빨리 응급실에 가야 할 긴급 상황도 있습니다.
뇌경색과 뇌출혈 CT사진
누군가에게 머리를 세게 얻어맞은 것처럼 극심한 벼락 두통이 느껴진다면 뇌출혈(cerebral hemorrhage)의 일종인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뇌를 싸고 있는 3개의 막 중 하나인 지주막 아래에서 생긴 출혈로, 뇌동맥류가 파열돼 주로 발생합니다.
지주막하출혈이 나타난 환자의 30일 생존율은 50%에 불과하며, 생존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신경학적 후유증을 앓게 됩니다. 따라서 빨리 인지해 치료를 빨리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두통은 시작되고 몇 분 내로 최고조에 달합니다.
보통 뇌출혈이라고 부르는 ‘뇌실질내출혈(intraparenchymal hemorrhage)’이 생겨도 두통이 나타납니다.
뇌를 싸고 있는 막 아래쪽 뇌 조직에 발생한 출혈로, 환자가 7일 이내 사망할 확률이 30%나 됩니다.
생존자 중 1년 이내 사망률이 55%이며, 20% 정도만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개인과 사회에 큰 부담을 남기는 질환입니다.
뇌실질내출혈은 고혈압이 있거나, 혈관 기형이나 뇌동맥류가 있거나, 항응고제를 복용할 때 많이 발생합니다. 이때 두통은 서서히 생기며 몸 한쪽이 저리거나 마비되고, 언어 장애나 의식 변화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지주막하출혈과 뇌실질내출혈 등 뇌출혈로 응급실에 온 환자들이 호소한 주증상은 두통이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2011~2015년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뇌출혈 환자가 경험한 주증상은 두통(21.0%), 방향 감각 상실(8.3%), 편측 마비(7.9%), 의식 변화(7.2%), 어지럼증(4.3%) 순이었습니다.
뇌의 구조 신비의세계
문제는 주증상이 두통이었던 환자가 다른 증상을 보인 환자보다 최초 증상 발생 후 응급실 방문이 비교적 늦다는 점입니다. 뇌출혈은 추위가 시작되는 11월부터 증가해 12월에 가장 많습니다. 따라서 갑자기 두통이 생기면 면밀히 살피고 빨리 병원에 가야 합니다.
면역력이 낮은 암 환자, 어린이, 임신부도 염증성 질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2차 두통 가능성이 높습니다.
50대 이상 중년에서 처음 발생한 두통도 2차 두통을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운동이나 성행위 도중 갑자기 발생한 두통은 뇌동맥이 풍선처럼 늘어나거나 찢어져 나타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누워 있을 땐 괜찮다가 앉거나 섰을 때 심해지는 기립성 두통은 뇌 속 압력이 줄어들어 생긴 것일 수 있기에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천명 - 사주 신림 산정 선생님
진짜는 모두가 알아보는 법 | 역술인의 길은 정말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찾아옵
chunmyung.com
'건강칼럼(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 음식 전자렌지로 해동 하세요 꼭 이요. 세균오염 확실히 방지 (0) | 2021.09.22 |
---|---|
커피에 관한 좋은 상식 블랙커피가 건강에 좋을까 희소식 (1) | 2021.09.22 |
환절기 면역 증진 몸에 좋은 버섯 종류별 장점과 요리법 공개 (1) | 2021.09.21 |
이승기 ♥이다인 결별설 후 근황 / 곽민선 아나운서 열애설 수원삼성 삭제 (0) | 2021.09.21 |
코로나19 와 코골이 한가위 심해지는 코골이 수면장애 해결 방법은 (0) | 2021.09.21 |